LG CNS가 RPA(로봇 업무 자동화)와 AI 기술을 결합해 자동 급여 이체 기술을 개발, 국내 최초의 ‘자동 급여 이체 서비스’를 시작합니다. LG CNS는 RPA+AI 기술로 만든 서비스를 KB국민은행 영업점에서 첫 상용화하며, 금융권의 디지털 전환을 가속화합니다.
최근 많은 관심을 받으며 실제 다양한 업무에 적용되고 있는 RPA는 사람이 하는 단순 업무를 로봇이 대체하는 기술입니다. LG CNS는 RPA에 AI 기술을 더했습니다. AI가 더해지면 복잡한 업무도 자동화가 가능해, 은행의 급여 이체 같은 사람의 판단이 필요한 업무를 대체할 수 있습니다.
LG CNS의 RPA+AI 기술은 각각의 역할을 통해 은행의 급여 이체 절차를 모두 자동화했습니다. 기존에는 은행의 급여 이체 담당자가 기업으로부터 받은 급여 대장을 메일에서 골라 은행 내부망으로 옮겼습니다. LG CNS RPA는 급여 이체 담당자의 마우스 클릭 한번 필요 없이 위 업무를 대신 수행합니다.
은행 내부망으로 옮겨진 데이터는 AI가 이어받습니다. 은행이 접수하는 급여 대장은 기업마다 양식과 표현이 제각각입니다. 급여액, 직원명, 예금주, 계좌번호 등이 뒤죽박죽 섞여 있고, 제목 없이 데이터 값만 있는 경우, 문서의 셀이 병합된 경우, 필요 없는 데이터가 많은 경우 등입니다.
l 자동 급여 이체 서비스 개념도 (RPA와 AI의 만남)
수십만 개의 급여 데이터를 학습한 LG CNS AI는 급여 이체에 필요한 데이터만 추출하는 작업을 시작합니다. 숫자가 나열된 데이터를 분석해 계좌번호와 급여액을 구분하고, 직원명과 예금주가 다른 경우에도 실제 지급처를 찾는 등의 업무를 수행, 은행의 급여 지급 업무에 필요한 새로운 문서를 생성하고 RPA에 전달합니다.
마지막으로 RPA는 AI가 만든 문서를 은행의 급여 이체 시스템에 자동으로 입력합니다. 은행 담당자가 시스템에 입력된 데이터만 확인하면 급여 지급이 자동으로 처리됩니다.
LG CNS의 RPA+AI 기술은 은행 업무 중간중간 이뤄지는 급여 이체 처리 시간을 줄여, 고객 서비스 시간은 증가시키고, 야근 시간은 줄입니다.
LG CNS는 KB국민은행과 협력해 올 연말까지 전국 영업점 전체로 자동 급여 이체 서비스를 확대 적용할 계획입니다. 한 번에 적용하지 않고 영업점을 점차 확대하며 다양한 특이 사례를 수집, 서비스를 업그레이드합니다.
현재는 엑셀 문서 분석을 통한 급여 이체만 가능하지만, 워드, 한글 문서도 분석하고 퇴직연금, 경비 지급도 지급할 수 있도록 개발합니다.
l KB국민은행 영업점 직원이 급여이체 업무는 RPA와 AI에 맡기고, 고객상담 업무에 집중하고 있다
LG CNS는 IT 시스템 구축 1등 기업 노하우를 활용해 산업 분야별 고객사의 복잡한 업무를 정확히 파악해 RPA 적용 대상을 찾아내고 있습니다. 고객사와 유사한 LG CNS의 사내 업무에 RPA를 먼저 적용한 이후, 기술을 검증하는 방식으로 고객사 디지털 전환을 위한 과제를 발굴할 계획입니다.
LG CNS 개발혁신센터 이호군 담당은 ‘이번 KB국민은행 프로젝트처럼 RPA에 AI, 빅데이터, 챗봇 등 다양한 IT 신기술을 결합해 서비스 적용 범위를 확대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글 l LG CNS 홍보팀
* 해당 콘텐츠는 저작권법에 의해 보호받는 저작물로 LG CNS 블로그에 저작권이 있습니다.
* 해당 콘텐츠는 사전 동의없이 2차 가공 및 영리적인 이용을 금하고 있습니다.
'CNS Sto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LG CNS, '차세대 디지털 신분증' 세계 표준 수립 주도한다 (0) | 2020.09.01 |
---|---|
"라떼는 말이야..."는 영어로 뭘까? AI에 물어봐~ (0) | 2020.07.28 |
'K-신분증'의 위엄, 전 세계에 통하는 신분증(DID) 개발 나선다! (2) | 2020.05.26 |
USB 유출? AI보안요원이 0.3초만에 다 잡아낸다 (1) | 2020.05.12 |
“얼굴로 결제한다” 식당에도 ‘언택트’ 서비스 등장 (3) | 2020.04.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