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년 UN이 192개국 회원국을 대상으로 시행한 전자정부 평가에서 처음으로 우리나라가 세계 1위를 달성했습니다. 이는 대한민국의 우수한 전자정부 서비스를 세계에 알린 계기가 되었고, 이후 우리나라 전자정부를 벤치마킹 하고자 하는 개발도상국들의 방한으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지금부터 대한민국 전자정부 시작단계부터 세계 1위를 달성하기까지의 그 과정을 짚어보고 이와 함께 한 LG CNS의 역할을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한국의 전자정부 발전단계
<2010, 대한민국전자정부, 행정안전부>
위의 도표를 보면,
첫 번째 단계는 전자정부 태동기로 행정전산망 구축이 시작된 1987년 ~ 1996년까지입니다.
국가기간전산망사업은 그 동안 정부가 국가전략사업으로 지원해 온 각종 정보화 사업 중에서는 최대 규모였으며, 1987년부터 1991년까지 1단계 사업, 1992년부터 1996년까지 제 2단계 사업으로 추진되었습니다.
두 번째 단계는 전자정부 기반 조성기로 정부는 국가정보화를 전담하는 부처로 정보통신부를 신설하고 정보화촉진법을 제정하여 체계적으로 전자정부 추진기반을 조성하고, 특히 이 시기에 정보화 시대의 필수 인프라인 ‘초고속정보통신망’을 구축하였습니다.
세 번째 단계는 전자정부 본격 추진 단계로 그간 부처별로 추진하던 전자정부가 범 정부적인 차원에서 전략적으로 추진 되었습니다. 행정프로세스의 전자화를 비롯한 정부부문의 개혁을 위해 3대 분야에서 11대 과제를 선정하였습니다. <아래 도표 참고>
LG CNS는 11대 과제 중 ‘민원서비스 혁신사업(G4C)’, ‘4대 사회보험정보 연계사업’, ‘국가재정정보시스템 구현’, ‘전자문서유통’, ‘범 정부적 통합전산환경의 단계적 구축’ 등 3개 분야의 5개 과제에 참여하였습니다.(도표 V 체크 부분) 이 시기에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전자정부사업이 구축된 것입니다. 특히 범 정부 차원의 핵심 인프라를 구축하여 전자정부 기반이 완성되었다고 할 수 있습니다.
< 11대 전자정부 사업 (2001~2002년)>
네 번째 단계 전자정부 확산단계는 전자정부 성장기로, 범정부 차원의 전자정부 추진을 확대하고 서비스 연계, 통합을 시도하여 전자정부 수준 향상 및 발전에 크게 기여한 시기입니다. 품질 좋은 행정서비스에 대한 사회적 기대와 수요가 급증하는 시점에 출범한 참여정부는 전자정부 통한 선진적인 행정서비스 제공에 관심이 많았고, 이에 따라 전자정부를 정부혁신의 전략적 핵심수단으로 인식하고, 임기 초부터 전자정부를 국정과제로 채택하였습니다.
전자정부 사업이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던 시기에 LG CNS는 전자정부사업 전문가로 구성된 ‘전자정부전문조직’을 구성하여, 전자정부 유관기관과 함께 차세대 전자정부 계획을 수립하고 향후 전자정부 발전방향’ 에 대한 연구 및 지원을 지속적으로 수행하였습니다. LG CNS는 전자정부 31대 로드맵 사업을 비롯해 공공정보화 사업수주에서도 괄목할 만한 성과를 거두며, 전자정부 본격 추진단계부터 지금까지에 이르는 약 10여 년 기간 동안 IT서비스사업자로서 대한민국 전자정부를 세계1위로 도약시키는데 큰 역할을 하였습니다.(주요 참여사업: 도표 V 체크 부분)
< 전자정부 로드맵 31대 과제 (2003~2007년)>
특히 전자정부사업이 확산기였던 2004년부터 2007년까지 진행된 31대 로드맵 과제內 205개 사업 중 약 127개 사업에 주•부사업자로 참여하였으며 전자정부 최대 사업자로서 전자정부 사업 성공에 결정적으로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게 됩니다. 2007년 전자정부 31대 로드맵 과제를 마무리하면서 개최된 전자정부 성과보고대회에서는 김대훈 대표이사(당시 공공/금융사업본부장)가 ‘동탑산업훈장’을 수여 받은 것을 비롯하여 LG CNS의 많은 임직원들이 전자정부 유공자로 선정되기도 하였습니다.
부민원포털(민원24), 정부통합전산센터, 특허행정시스템, 우편물류정보시스템 등 LG CNS가 구축한 정보시스템을 비롯하여 다수의 대한민국 전자정부시스템이 국제기구로부터 우수사례로 선정되거나 수상하였습니다. 그러나 전자정부 융합단계에 들어선 2008년부터는 전자정부지원 예산이 축소되고, 사업규모에 따른 대기업 참여 제한 등의 조치에 따라 국내 공공정보화 사업의 참여 기회는 점차 줄어들게 되었습니다. 이에 LG CNS는 그간 국내에서 이룬 전자정부 성과를 기반으로 해외시장으로 눈을 돌려 글로벌 시장에 국내에서 성공적으로 수행한 사업의 일부를 해외 수출을 하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LG CNS는 국내 IT서비스 대표기업으로 전자정부 세계 1위와 IT코리아 구현에 기여하여 국민편익증진, 경제활성화, 행정효율 제고 및 IT서비스산업 성장을 견인해왔습니다. 앞으로 LG CNS는 대한민국 1등을 넘어 글로벌 시장에서 한 단계 더 도약하여 IT기술을 통한 보다 나은 세상을 만드는 꿈을 실현하고자 합니다.
글 | LG CNS 공공/SOC사업본부 공공정책팀
'IT Solutions > e-Government'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내 최초 ‘우편물류 정보관리 솔루션’ 수출 - LG CNS의 ‘비바포스트(VIVAPOST)’, 민관 협력으로 말레이시아 수출 - (0) | 2013.04.29 |
---|---|
도서관에 대한 새로운 생각, 국립디지털도서관 (The National Digital Library Korea) (0) | 2013.01.23 |
전자정부 10년, 최고를 지향하던 기술이 세계에서 최고가 되다 (1) | 2012.12.04 |
LG CNS가 구축한 전자여권, 해외여행이 더욱 안전하고 편리해지다 (0) | 2012.08.17 |
LG CNS가 구축한 전자소송시스템 활용 1년 – “법원의 담장 허문다” (1) | 2012.06.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