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 클라우드 썸네일형 리스트형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업체(CSP)와 그 특징은? 클라우드로 전환을 결심하고 나면 기업은 다양한 질문과 고민거리를 마주하게 됩니다. 그중에서도 기업들이 먼저 하게 되는 질문은 ‘어떤 CSP(Cloud Service Provider,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업체)를 선택할 것인가?’하는 질문입니다. 이때 어떤 판단을 내리느냐에 따라 작게는 ‘지출의 효율성’에서 크게는 ‘클라우드의 활용 수준’까지 달라집니다. 따라서 선택을 할 때는 각 CSP의 특징을 잘 파악하고, 회사의 클라우드 전략과 맞는 CSP를 고르는 것이 중요합니다. 자세한 이야기가 궁금하다면 아래 배너를 클릭해 콘텐츠 전문을 확인해 보세요. 글 l LG CNS Entrue Consulting 클라우드그룹 * 해당 콘텐츠는 저작권법에 의해 보호받는 저작물로 LG CNS 블로그에 저작권이 있습니다. .. 더보기 IT 신기술로 엑스레이(X-ray) 분석 15초에 끝낸다 LG CNS가 공공보건의료 서비스 향상을 위해 의료 AI 스타트업 루닛(Lunit)과 손잡았습니다. LG CNS와 루닛 양사는 21일 마곡 LG사이언스파크 내 LG CNS 본사에서 ‘공공보건 AI 분야 사업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습니다. 이 자리에는 정운열 공공사업담당 상무와 서범석 루닛 대표이사 등 관계자 30여 명이 참석했습니다. 이번 협약으로 두 회사는 클라우드 플랫폼에서 AI를 통해 의료용 엑스레이 영상을 15초 내로 빠르게 분석하는 사업을 추진합니다. 이에 차별화된 기술, 지식, 자원, 사업 역량 등을 공유하는 오픈 이노베이션(Open Innovation)을 통해 시너지를 창출합니다. LG CNS의 강점은 클라우드 구축•운영 역량입니다. 지난해 LG CNS는 '클라우드 인티그레.. 더보기 LG CNS, IT 서비스 기업 최초 공공 클라우드 보안 인증 획득 LG CNS가 IT 서비스 기업 중 최초로 공공 클라우드 보안 인증을 획득했습니다. 클라우드 보안 인증은 민간 기업이 국내 공공기관에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갖춰야 하는 필수 요건으로,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이 시행하는 정보보호 정책, 데이터 보호 및 암호화 등 14개 분야 117개 항목에 대한 관리적, 물리적, 기술적 심사평가를 통과해야 인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정부는 지난 2015년 9월 공공기관의 민간 클라우드 사용률을 2018년까지 40% 수준까지 끌어올리는 등 공공부문의 클라우드 확산을 위한 계획을 발표했는데요. 지난 1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행정안전부가 발표한 ‘2018 공공부문 클라우드 컴퓨팅 수요조사’에 따르면 2017년 민간 클라우드를 활용하는 공공기관 수가 전년 대비 5배.. 더보기 LG CNS, 공공 클라우드 토양에 ‘씨앗’ 심는다 - 클라우드 서비스 협력업체 위한 ‘공공 클라우드 시장 설명회’ 개최 – LG CNS는 23일 서울 상암동 DDMC 사옥에서 LG CNS 클라우드 서비스 협력업체를 위한 ‘공공클라우드 시장 설명회’를 개최했습니다. 이번 설명회는 공공부문 민간 클라우드 이용 활성화 정책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건전한 클라우드 생태계 조성에 기여하기 위해 마련되었습니다. LG CNS는 설명회에서 ‘클라우드 발전기본계획’, ‘클라우드 보안인증제도’, ‘공공기관 민간 클라우드 이용 지침’ 등 정부 클라우드 정책을 공유하고, 공공 클라우드 장터 이용절차, 규격서 작성 요령, 신규 서비스 발굴 등 국내 중소 솔루션 업체들과 공공 클라우드 서비스 사업자로서 갖춰야 할 요건들에 대해 발표했습니다. l 클라우드 발전 기본 계획 정부는 지난해 9월 클라우드발전법 시행 이후, ‘K-ICT 클라우드 활성화 계획’.. 더보기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