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유경제

대중교통도 자가용처럼 편하게 이용할 수 있을까? 스마트시티는 한글로 풀면 지능형 도시라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지능형 도시란 무엇이며 지능을 가진 똑똑한 도시는 어떻게 진화하고 있을까요? 이번 편에서는 지능형 도시 구현을 위해서 4차 산업혁명의 핵심 기술인 인공지능이 적용되고 있는 사례들을 살펴보고 똑똑한 미래 도시의 진화 방향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공유경제의 대표적인 사례인 우버로컬 택시나 렌터카보다 편리하고 저렴해서 해외여행에서 우버를 사용하시는 분들도 늘어나고 있습니다. 이러한 차량 공유 서비스가 도시를 바꿀 수 있을까요? 차량을 공유하는 도시는 어떠한 모습일까요? 소유에서 소비로 'MaaS(Mobility as a Service)' 2010년 서비스를 시작한 우버가 8년 만에 65개국 600개 이상의 도시로 서비스를 확장하고 전세계 스타트업.. 더보기
커넥티드카 서비스의 최신 트렌드! 어떤 사례가 있을까? 사물인터넷과 커넥티드카의 발전으로, 커넥티드카 서비스도 크게 발전하고 있습니다. 승차공유 서비스로 크게 성장한 우버(Uber)가 대표적입니다. 물론, 그 외 주요 자동차 업체들도 이미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데요. 개인화와 맞춤형 서비스의 흐름은 자동차 업계에서도 볼 수 있습니다. 자동차사가 자체적으로 제공하는 커넥티드카 서비스는 주로, 차량과 연계된 부품 교체, 정보제공, 고장 진단, 긴급 구난 등의 서비스가 있습니다. 일부 자동차사들은 자체적인 차량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기까지 하며, IT 사들의 다양한 서비스들도 제공되고 있는데요. 스마트홈•스마트카를 연동하는 서비스들도 등장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주요 업체들이 제공 중인 다양한 커넥티드카 서비스와 비전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벤츠, 미래 진화.. 더보기
IT 기술의 발전으로 인한 자동차 소유 시대의 종말 서울연구원에서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승용차 소유자의 50.1%는 주중 승용차 운행 횟수가 2회 이하로 나타났고, 20.5%는 주중, 주말에도 승용차를 거의 이용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습니다. 또한, 평균적으로 승용차를 소유, 유지하는데 지출하는 비용은 연간 78만원 정도로 추정되며 그 중 24만 8천원은 승용차를 운행하지 않아도 기본적으로 지출하게 되는 소유 비용으로 집계되었습니다. 비단, 이러한 통계가 국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닙니다. 미래 자동차 산업의 변화를 전망한 ‘무인 자동차의 혁명’에 따르면 자동차는 하루 중 약 4% 시간 동안만 운행되고, 나머지 시간 동안은 주차되어 있을 만큼 낭비되는 시간이 매우 많다고 합니다. 즉, 자동차를 소유하면서 매우 많은 경제적 비용을 지불하고 있지만, 정작 .. 더보기
4차 산업혁명의 체크리스트 4차 산업혁명은 ICT 기술의 공통기반기술인 ICBMS(IoT, Cloud, Big Data, Mobile, Security)와 다른 산업과의 융복합이 핵심입니다. 신산업창출과 혁신중심의 경제 변화가 주요 키워드라고 할 수 있죠. 이러한 이유로 나라마다 산업구조의 재편성과 기술개발 등을 중요한 이슈로 다루고 있습니다. 4차 산업혁명과 한국의 준비도 한국과학기술평가원의 자료를 보면, 현재 우리나라의 주요 기술 분야에서 주요국가들과의 격차 현황을 볼 수 있습니다. 이동 통신, 네트워크, 컴퓨팅, 융합 SW 측면에서 최고 국가를 100%로 보았을 때, 이동 통신은 0.8년, 네트워크는 1.4년 그리고 컴퓨팅과 융합 SW 분야가 각각 1.7년 정도로 격차가 발생한다고 합니다. 또한, UBS(Union Bank .. 더보기
4차 산업혁명을 통해 보는 스마트카의 미래 2016년 다보스포럼에서 다루어진 4차 산업혁명은 정보통신, 물리학, 바이오 등 다양한 학문과 산업을 융합한 변화상을 제시했습니다. 최근에는 인공지능, 기계기술, 통신기술의 융합에 따른 변화가 많이 다루어지고 있는데요. 특히, 자동차 산업과 관련 산업은 4차 산업혁명의 흐름에서 매우 큰 변화가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산업입니다. 2016년 다보스포럼에서 제시된 변화 시점과 주요 변화상을 자동차와 관련 산업의 측면에서 살펴보겠습니다. 미래 스마트카 관련 사항은 어떤 것들이 있는가? l 다보스포럼에서 제시한 주요 변화 시기(출처: Deep Shift Technology Tipping Points and Societal Impact) 다보스포럼에서 제시된 자동차 관련 주요 변화 시기와 키워드입니다. 주요 변화상..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