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중국

깃허브에 이은 ‘기티(Gitee)’의 등장! 확장하는 오픈소스 생태 오픈소스 기술만큼 전 세계 사용자가 함께 이용하고 개발하는 기술은 없을 것입니다. 그래서 오픈소스 기술들은 어느 나라의 기술이라고 딱 잘라 표현하기 어려운데요. 대신에 오픈소스 코드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주요 서비스들은 깃허브처럼 미국 기업이 만든 경우가 많습니다. 오픈소스 생태계가 커지자 요즘은 미국 밖에서 비슷한 서비스를 종종 볼 수 있습니다. '중국판 깃허브’라고 불리는 ‘기티(Gitee)’가 대표적입니다. 오늘은 ‘깃(Git)’을 둘러싼 중국 내 오픈소스 생태계를 살펴보겠습니다. 깃허브 정책 변화로 위기를 느낀 중국 깃허브가 2019년 발간한 오픈소스 트렌드 보고서 ‘옥토버스’에 따르면 중국은 미국 다음으로 오픈소스를 많이 사용하는 나라로 뽑혔습니다. 기술 기여도 측면에서도 아시아 출신 개발자의 활.. 더보기
드론 택시, 현금 없는 세상이 온다. 4차 산업혁명은 우리의 생활을 어떻게 바꿔 놓게 될까요?중국의 개혁개방 1번지 선전이 전 세계 혁신 도시 가운데 가장 먼저 4차 산업혁명이 바꿔 놓을 실험 도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선전은 지난 40년 동안 주민 소득이 만 배 넘게 늘며 중국을 바꾸는 혁신 1번지로 성장했는데요. 이곳에는 전 세계 드론 시장 70%를 장악하는 DJI를 비롯해 화웨이, 텐센트 등 유니콘 기업 13곳이 중국의 미래를 만들어 가고 있습니다. 놀랍게도, 이런 혁신을 이끄는 주인공들은 평균 나이 32세의 청년들입니다. 선전은 어떤 미래 도시를 만들고 있을까요? ‘하늘을 나는 택시’ 이동 혁명 일으킨다. 모방자에서 파이어니어로 변신하며 실리콘밸리를 위협하는 중국 혁신기업들. 그들로부터 놀라운 생활 혁명이 시작되고 있습니다. ‘하늘.. 더보기
알리바바, 소스코드를 무료로 풀다 2017년 10월 구글의 한 개발자는 흥미로운 통계 분석을 공개했습니다. 어떤 기업이 오픈소스 기술을 가장 많이 기여하는지에 대한 내용이었는데요. 여기에는 깃허브 내에서 코드 수정 횟수, 기여자, 소속, 프로젝트 수를 활용했습니다. 살펴보니 구글, 페이스북, 마이크로소프트(MS), 레드햇 등이 상위 순위에 올랐습니다. 다소 뻔한 결과이지만 특이점이 하나 있습니다. 어느 한 중국 기업이 깃허브, 아마존, 페이스북과 비슷한 수준으로 오픈소스 기여를 하고 있다고 하는데요. 바로 오늘 다룰 ‘알리바바(Alibaba)’ 이야기입니다. ● 참고 링크: https://bit.ly/github-top2017 l 알리바바는 12개 기업 중 유일하게 중국 기업으로 이름을 올렸다. 나머지 기업은 모두 미국 기업이다.(출처:.. 더보기
창업의 나라 중국, 그리고 대한민국 중국의 공유 자전거 스타트업들이 정리가 되고 있습니다. 공유 자전거 전쟁이 끝나가는 신호라 할 수 있는데요. 이를 통해 미국 못지않게 치열한 중국의 스타트 업계를 엿보게 됩니다. 상해의 밤은 스타트업 사무실의 꺼지지 않는 불빛으로 화려합니다. 성장을 가장 중요한 가치로 여기는 중국 스타트업의 열정과 저력을 느낄 수 있는데요. 중국의 ‘비트코인 없는 블록체인’ 중국의 블록체인 정책은 한국과 유사합니다. 따라서 블록체인 스타트업은 블록체인의 핵심인 ‘코인’을 제외한 반쪽짜리 기술만을 이야기해야 하는데요. 그러나 어느 나라보다 중국에서는 많은 기업들이 블록체인으로 창업하고 치열하게 경쟁하고 있습니다. 상해에서 만난 ‘딥브레인 체인’ CEO를 포함한 팀은 열정적으로 개발에 몰두하고 있습니다. 컨테이너 기술인 도.. 더보기
중국 개인정보 안전규범의 강화! 어떻게 준비해야 할까? 최근 중국에서 개인정보 관련 사고 발생과 그에 따른 피해가 증가함에 따라, 중국 정부가 개인정보에 대한 중요성을 강조하고 그에 따른 관리를 강화하는 한편, 개인정보 관련 법규들을 제정하고 있습니다. 관련 법규 중 개인정보 보호에 대한 규정들이 상세하게 나와 있는 ‘개인정보 안전규범(2016.12 초안)’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중국 개인정보 안전규범이란 개인정보 안전규범은 정보시스템을 이용하여 개인정보를 처리할 때 지켜야 할 원칙과 적용해야 할 안전조치를 규범화하고 있습니다. 먼저 개인정보 안전규범의 개인정보 개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개인정보란 전자적 방식이나 기타 방식으로 기록되어 다른 정보와 결합하여 자연인 신분을 식별할 수 있는 정보로, 자연인의 확인과 관련된 생물적 특징, 위치, 행위.. 더보기
중국 네트워크 안전법 분석 및 대응 방안 ② 지난 원고에서는 중국 네트워크 안전법의 상세 내용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이번 원고에서는 네트워크 안전법의 대응 방안 및 준비 방안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네트워크 안전법 대응 방안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네트워크 안전법’은 그 범위가 매우 광범위하고 내용 자체도 포괄적이어서 어떻게 준비해야 할지 막막한 측면이 있습니다. 하지만 다행스러운 점이 있다면, 네트워크 침해 행위와 개인정보 보호 등은 한국에서도 다년간 이슈가 되어 왔던 내용들이어서, 이에 대응하기 위한 경험이 한국 내에 많이 있고, 한국에 본사를 둔 기업들의 경우 중국 내에도 이런 경험을 확산하기 위해 다년간 점검과 이행 등의 노력이 있어왔다는 점입니다. 법규 내용을 분석해 보면 관리적•기술적•개인정보의 크게 세 가지 측면에서 준비가 필요.. 더보기
중국 네트워크 안전법 분석 및 대응 방안 ① 작년 여름 무렵에 중국에도 개인정보 보호법이 생긴다는 소식이 나오기 시작했습니다. 그로부터 1년 반 정도가 지난 11월 7일에 ‘그 법’이 전국인민대회에 통과되어 내년(2017년) 6월 1일부터 시행하는 것으로 확정되었습니다. 중국어로 정식 명칭이 ‘网络安全法’ 입니다. ‘网络’는 네트워크를 지칭하는 용어로 한국에서 ‘사이버 안전법’, ‘인터넷 안전법’, ‘네트워크 안전법’, ‘인터넷 정보 안전법’등 여러 명칭으로 분석이 되고 있습니다. 법의 명칭이 ‘네트워크’를 지칭하는 점에서 알 수 있듯이, 최초에 알려진 것처럼 단순히 개인정보에 대한 보호 목적만을 가지고 있는 것은 아니며, 매우 광범위한 내용을 담고 있어 중국 내에서 사업을 영위하고 있는 기업들은 모두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습니다. 이제부터 법이 .. 더보기
중국의 개인정보 보호법 제도 동향 및 대응방향 국내에서는 2001년에 제정된 ‘정보통신망 이용 촉진 및 정보 보호 등에 관한 법률’과 그로부터 10년 뒤인 2011년에 제정된 ‘개인정보 보호법’을 통해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한 법 제도를 만들어 시행하고 있습니다. 시행 초기에 기업들은 데이터베이스 내에 있는 정보를 암호화하기 위해 많은 투자를 해야 했으며, 주민등록번호의 수집을 금지하도록 법률이 개정이 되었을 때는 기존의 업무 절차를 대대적으로 변경해야만 했습니다. 이와 같이 개인정보 보호와 관련된 기업의 활동은 법 제도에 많은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고, 관련된 법 제도를 준수하기 위해 추가적인 투자나 기존의 업무 절차를 변경해야만 하는 일이 생길 수 있습니다. 중국 개인정보 보호법 제도 동향 파악의 필요성 값싼 인건비를 무기로 세계의 공장이라고 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