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이버시 썸네일형 리스트형 [보안동향] 놓칠 수 없는 ESG 트렌드, ‘정보보안’을 잡아라! 2019년 8월, 애플과 아마존 등 미국을 대표하는 180여 개 기업의 CEO를 대변하는 비즈니스 라운드 테이블(BRT)은 '기업의 목적에 대한 성명'을 발표했습니다. 이를 통해 기업의 주주뿐만 아니라 근로자와 고객, 사회 등 기업의 다른 이해관계자에 대한 사회적 책임을 이행하겠다는 의지를 내보였죠. 최근 몇 년 사이 기업에 대한 사회적 책임에 대한 목소리가 커지면서, ESG(Environment, Social and Governance) 경영을 도입하고 있는 기업이 점차 늘고 있습니다. 자본주의가 시작된 이후 기업의 목적은 이윤 추구로 여겨졌는데요. 기후 위기와 코로나 19 팬데믹을 겪으며 기업의 사회적 책임이 중요해지면서 많은 투자기관에서는 ESG를 투자의 중요한 평가지표로 활용하고 있습니다. ESG.. 더보기 2020년 대선에 사용될 MS 오픈소스 기술 최근 IT 기업들에 가장 민감한 부분은 ‘보안’일 것입니다. 해킹을 당하거나 개인정보를 제대로 관리하지 못할 경우, 법적 책임은 물론이고 청문회까지 나가야 하죠. 그래서 그런지 올해 연례 개발자 콘퍼런스를 열었던 IT 기업들은 유독 ‘보안’ 부분을 강조했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MS)도 마찬가지입니다. 지난 5월에 열린 MS의 연례 개발자 행사를 보면 사티아 나델라 CEO는 기조 연설을 ‘엔지니어로서 가져 야할 사회적 책임’으로 시작합니다. 이어서 프라이버시, 사이버 보안, 책임 있는 인공지능 기술에 대해 언급했습니다. 그리고 가장 처음 소개한 기술이 있습니다. l 사티아 나델라 MS CEO가 2019년 5월 6일 열린 연례 개발자 행사 ‘빌드(Build)’에서 발표를 하는 모습 (출처: 빌드 2019 콘.. 더보기 EU GDPR, 개인정보 보호는 어떻게? EU GDPR(General Data Protection Regulation)의 시행을 앞두고 이의 적용을 받는 기업•기관들은대응 체계 마련과 함께 법 시행일(5/25) 이후 이에 따른 파급 효과에 대해 초미의 관심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GDPR에서 명시된 많은 내용이 국내의 개인정보 관련 법률 수준으로 구체적으로 기술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국내의 법체계를 참고하여 대응 체계를 수립하고 실제 법이 시행된 이후 법의 적용 방향성에 따라 추가 대응을 신속하게 할 수 있도록 준비하는 추세입니다. GDPR이 국내의 개인정보 유관 법률과 개인정보를 보호하고자 하는 기본 사상은 다르지 않기 때문에 당장 현실적으로 ‘어떻게’를 고민하는 기업이라면, 이런 대응 방법도 나쁘지 않은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국.. 더보기 신뢰의 인터넷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 1편 블록체인과 비트코인은 서로 다른 종류의 개념입니다. 블록체인은 탈중앙형 애플리케이션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이며, 비트코인은 블록체인으로 구현된 탈중앙형 애플리케이션의 하나입니다. 블록체인은 비트코인이 탄생하는 과정에서 필요에 의해 개발된 기술이지만, 비트코인과는 독자적으로 기술적 발전을 거듭하면서 비트코인을 비롯한 암호화폐의 구현뿐만 아니라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구현할 수 있는 기술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비트코인은 암호화폐입니다. 암호화폐는 탈중앙형 애플리케이션의 일종으로 화폐로서 가치를 가지도록 설계되어 있는데요. 중앙은행 없이 화폐가 발행되고 유통되며, 총 발행량을 제한함으로써 자연스러운 인플레이션을 유도하며 화폐의 가치를 유지합니다. 그러나 최근 광풍으로 표현할 수밖에 없는 비트코인 열풍은 탈중앙형.. 더보기 중국의 개인정보 보호법 제도 동향 및 대응방향 국내에서는 2001년에 제정된 ‘정보통신망 이용 촉진 및 정보 보호 등에 관한 법률’과 그로부터 10년 뒤인 2011년에 제정된 ‘개인정보 보호법’을 통해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한 법 제도를 만들어 시행하고 있습니다. 시행 초기에 기업들은 데이터베이스 내에 있는 정보를 암호화하기 위해 많은 투자를 해야 했으며, 주민등록번호의 수집을 금지하도록 법률이 개정이 되었을 때는 기존의 업무 절차를 대대적으로 변경해야만 했습니다. 이와 같이 개인정보 보호와 관련된 기업의 활동은 법 제도에 많은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고, 관련된 법 제도를 준수하기 위해 추가적인 투자나 기존의 업무 절차를 변경해야만 하는 일이 생길 수 있습니다. 중국 개인정보 보호법 제도 동향 파악의 필요성 값싼 인건비를 무기로 세계의 공장이라고 불.. 더보기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