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 시(市)는 버스 운영의 1년간 데이터를 수집해 운행 중에도 실시간으로 노선이 바뀌는 가변형 노선 서비스를 제공한다. 시민들의 이용 패턴을 분석해 실시간으로 운행 대수를 늘리거나, 특정 시간에 승객이 없는 일부 정류장은 정차하지 않고 우회하기도 한다. 정류장마다 센서가 장착돼 승객이 없는 경우 버스에 알려준다. 시시각각 바뀌는 버스 운행 정보는 스마트폰으로 실시간 공유되기 때문에 시민들은 불편함을 느끼지 않고 최적의 노선으로 편안하게 이동한다. #. B 시(市) 내 복잡한 주택가에 사는 김 모씨는 자신 차량의 블랙박스 정보를 시에 제공하는 대신 전용 주차공간을 얻었다. B 시는 경찰 내 데이터를 분석해 CCTV 설치 필요 지역에 주차 공간을 만들었다. 김 모씨의 자동차 블랙박스가 사실상 CCTV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