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딥러닝

듣고, 맡고, 맛본다! 인간의 감각을 배우는 AI 신체의 감각수용기 종류로 분류한 시각, 청각, 후각, 미각, 촉각의 다섯 가지 감각을 '오감'이라고 말합니다. 시각은 망막, 청각은 달팽이관, 후각은 비점막, 미각은 혀, 촉각은 피부가 수용기이죠. 과거부터 컴퓨터 과학 분야에서 시각과 촉각은 중요한 연구 대상이었습니다. 시각은 인간의 모든 감각수용기 중 약 70%가 눈에 있는 만큼 가장 중요한 감각으로 꼽히기 때문입니다. 인간이 컴퓨터와 원활하게 상호작용하려면 인간이 보는 것을 컴퓨터도 똑같이 보고, 인지할 수 있어야 했으니 말입니다. 촉각의 경우도 비슷합니다. 촉각의 전달 속도는 70m/s로 매우 빠르고, 빛이나 소리처럼 공중으로 확산해 정보를 퍼뜨리는 속성이 없어서 촉감의 재현으로 컴퓨터가 인간과 상호작용하는 방법은 지금도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 더보기
조상님 사진이 움짤로? AI 사진 프로젝트 딥 노스탤지어 지난 2월에 온라인 족보 플랫폼인 마이헤리티지(MyHeritage)는 '딥 노스탤지어(Deep Nostalgia)'라는 인공지능(AI) 기반 서비스를 공개했습니다. 딥 노스탤지어는 스틸 사진을 움직이는 사진으로 만들어주는 서비스로, 얼굴의 움직임이 녹화된 비디오를 사용합니다. 해당 스틸 사진에 가장 적합한 영상을 적용해 얼굴에 시선이나 표정을 더합니다. 덕분에 사진으로 고인이 된 사랑하는 사람의 생동감 있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마이헤리티지는 이스라엘의 AI 스타트업인 D-ID가 제공한 AI 영상을 활용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오늘날, 생체 데이터의 사용이 증가함에 따라서 CCTV 등 사진이나 영상물로 저장되는 얼굴에 관한 개인 정보 보호법도 강화하고 있는데요. D-ID가 개발한 안면 이미지 식별 솔루션.. 더보기
드라마 ‘스타트업’의 눈길 서비스, 현실이 되다? 수지, 남주혁 주연의 드라마 ‘스타트업’에서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인공지능(AI) 인식 서비스 ‘눈길’이 등장하는데요. 눈길 서비스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안내견의 역할을 인공지능으로 제공해 주는 서비스입니다. 딥러닝 기술의 발전으로 눈길과 같은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는데요. 최근에는 인공지능을 이용한 보조 기기와 서비스들이 등장하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관련 기기와 서비스 동향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자율주행에서 시각장애인 보조 기기로, 이스라엘의 올캠(OrCam) 이스라엘의 올캠은 시각장애인용 안경 기기인데요. 올캠의 창업자는 자율주행 센서 업체인 모빌아이의 창업자입니다. 인텔은 지난 2017년 모빌아이를 17조 원에 인수한 바 있습니다. 올캠은 안경에 부착할 수 있고요. 책이나 간판을 인식해서 음성으로 .. 더보기
상형문자도 풀어내는 AI의 능력! AI의 한계는? 우리는 매일 여러 방법으로 수많은 사람, 사물과 소통합니다. 만나서 직접 이야기를 하거나, 문자나 메신저, 채팅을 통해 이야기를 나눕니다. 심지어 컴퓨터와 프로그래밍 언어를 통해 소통합니다. 소통을 위해 글씨를 쓰기도 하고 수화 같은 몸짓으로 표현하기도 합니다. 일반적으로 사람은 언어라는 매개체를 통해 소통합니다. 전 세계적으로 매일 약 7,000개에 달하는 언어가 사용됩니다. 더욱 놀라운 사실은 7,000개의 언어는 역사적으로 알려진 언어의 1/4 정도밖에 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약 3만 개 이상의 언어가 사용됐는데, 지금까지 3/4에 해당하는 언어가 사라졌고 앞으로도 언어는 계속 소멸할 것으로 예상합니다. 그렇다면 이미 사라진 과거의 언어는 어떻게 해석할 수 있을까요? 혹은 우리가 지금까지 확인할 .. 더보기
AI 보안 요원이 랜섬웨어 공격 잡아낸다(下) 무차별 감염을 시도하는 랜섬웨어(Ransomware) 등에 대비해 악성코드의 공통 패턴과 공격자의 악성 행위를 학습해, 여러 가지 종류의 많은 로그 데이터로부터 정확하고 신속하게 악성 행위를 탐지할 수 있는 인공지능(AI) 기술이 주목받고 있으며, 보안 모니터링 업무에도 활용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지난 원고에 이어 이번에는 내부 확산 공격을 ‘보안 솔루션에서의 기계학습 활용, 성공적인 기계학습 도입을 위한 고려 사항’을 통해 알아보겠습니다. ● AI 보안 요원이 랜섬웨어 공격 잡아낸다(上) 보안 솔루션에서의 기계학습 활용 최근 많은 빅데이터 기반의 보안 분석 솔루션에서는 공격 단계별로 악성 행위를 탐지하기 위해 AI 기반의 분석 기능을 탑재하고 있습니다. 이와 같은 솔루션은 내부 네트워크 내에 .. 더보기
240p 저화질 영상 '8K 고화질'로 바꾸려면? 'AI 업스케일링' 최근 방송국과 유튜브 등 미디어 채널에서 8K 해상도의 영상을 지원하면서 고해상도 이미지, 영상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습니다. LG전자 등 제조사에서는 8K 영상 TV를 출시하는 등 고화질의 시대라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4K TV가 보급되고 현재 대중화됐지만, 4K 해상도를 지원하는 콘텐츠나 이미지를 제작하려면 비용과 시간이 필요합니다. 예를 들어, 애니메이션에서 4K 해상도로 제작하기 위해서는 FHD(가로•세로 1920x1080)보다 4배 크기의 제작이 필요합니다. 즉, 애니메이션 그림을 그려야 하는 크기가 4배가 되면서 비용과 시간이 더욱 필요합니다. l Full HD에서 8K까지 (출처: pcmag) 이제 8K 고해상도 디스플레이가 등장하면서 이를 지원하는 하드웨어의 발전에 비해, 8K로 제작.. 더보기
미래엔 새 컴퓨터 안 사도 된다? 클라우드와 슈퍼컴의 만남! 슈퍼컴퓨터의 정의는 ‘일반적인 컴퓨터에 비해 월등한 연산 능력을 보유한 컴퓨터’입니다. 현재 스마트폰의 연산 성능은 1980년대 가장 빠른 슈퍼컴퓨터보다 더 빠르다는 점을 고려하면, 어느 정도 연산 능력을 갖춰야 슈퍼컴퓨터라고 불릴 수 있는지는 논란의 여지가 많습니다. 때문에 ‘상위 500대(톱 500)’ 슈퍼컴퓨터 순위(top500.org)에서 매년 두 차례 발표하는 린팩(LINPACK) 벤치마크 성능을 주요한 통계 자료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물론 보안이나 아키텍처 문제 때문에 충분한 성능이 있더라도 집계되지 않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톱 500에 등재된 슈퍼컴퓨터가 꼭 가장 빠른 슈퍼컴퓨터는 아닐 수 있습니다. 약 9년 전인 지난 2011년 11월 독일 슈퍼컴퓨팅 콘퍼런스에서 발표된 전 세계 ‘톱 50.. 더보기
‘스마트’한 기술이 뭐지? 스마트폰부터 스마트시티까지! 안녕하세요. 코지입니다. 오늘은 여러분과 함께 스마트 기술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요즘 여기저기서 ‘스마트’라는 단어를 참 많이 쓰고 있는데요. 2020년 정부 예산안 자료에는 스마트 관광, 스마트 상수도 등, ‘스마트’라는 단어가 무려 83개나 들어갔다고 합니다. 스마트가 붙는 말이 너무 많아서 아예 지금의 트렌드를 ‘스마트 X’라고 표현하기도 하는데요. 대체 스마트가 무엇이길래 이렇게 많은 곳에서 쓰고 있는 걸까요? 스마트 기술이란? 영어 스마트(Smart)의 뜻은 ‘똑똑한, 영리한’이라는 뜻이라는 것, 다들 아시죠? 전자기기에서의 스마트는 네트워크와 연결됨으로써 사용자가 기능을 확장하고 재구성할 수 있는 기술을 의미합니다. 조금 어렵죠? 스마트폰을 예로 들어보겠습니다. 여러분은 스마트폰을 통해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