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스토리지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업체(CSP)와 그 특징은? 클라우드로 전환을 결심하고 나면 기업은 다양한 질문과 고민거리를 마주하게 됩니다. 그중에서도 기업들이 먼저 하게 되는 질문은 ‘어떤 CSP(Cloud Service Provider,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업체)를 선택할 것인가?’하는 질문입니다. 이때 어떤 판단을 내리느냐에 따라 작게는 ‘지출의 효율성’에서 크게는 ‘클라우드의 활용 수준’까지 달라집니다. 따라서 선택을 할 때는 각 CSP의 특징을 잘 파악하고, 회사의 클라우드 전략과 맞는 CSP를 고르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렇다면 CSP에는 어떤 회사들이 있으며 그 특징은 무엇일까요? 그 부분에 대해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CSP란 무엇인가? 클라우드는 사설 클라우드(Private Cloud)와 공공 클라우드(Public Cloud) 두 가지 종류로 나눌.. 더보기
LG CNS 인프라 운영관리(서버/스토리지) 경력채용 4차 산업혁명을 주도할 인재를 찾습니다. LG CNS는 지난 30년 동안 대한민국을 대표해 온 IT 서비스 전문기업입니다. 제조•금융•공공•통신 등 다양한 분야의 산업 전문성과 IT 기술력을 바탕으로 국내외 고객에게 컨설팅, 시스템 구축•운영, 아웃소싱 등의 토털 IT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IT 신기술로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해 나가고 있습니다. LG CNS에서는 아래와 같이 인프라 운영관리(서버/스토리지) 경력채용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관심있는 분들의 많은 지원 부탁드립니다. ● 모집기간: 2019.01.21 23:00 까지 ● 모집분야 ● 지원 자격 및 절차 더보기
2018, IT와 금융의 융합 #15 마침내 도래한 은행 클라우드 시대 금융권에서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이 급부상하고 있습니다. 클라우드 컴퓨팅은 인터넷상의 서버를 통해 데이터 저장, 콘텐츠 사용 등 IT 관련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는 컴퓨터 환경을 말합니다. 쉽게 말하면, 구름(Cloud)과 같이 무형의 형태로 존재하는 컴퓨팅 자원을 자신이 필요한 만큼 빌려 쓰고 이에 대한 사용 요금을 지급하는 방식의 컴퓨팅 서비스입니다. 서로 다른 물리적 위치에 존재하는 컴퓨팅 자원을 가상화 기술로 통합해 제공하는 구조입니다. IT 자원을 이용자가 직접 소유 및 관리하는 기존의 방식과 달리, 이용자가 필요한 IT 자원을 인터넷을 통해 제공받음으로써 소유(클라우드 제공자)와 관리(이용자)를 분리하는 방식입니다. 기업들이 직접 서버나 플랫폼, 프로그램을 구축하기보다는.. 더보기
IoT 시대에 주목 받는 신기술 ‘엣지 컴퓨팅’ # 자율주행차가 시속 45km로 도로 주행을 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전방에 아이들이 무단횡단을 하려고 합니다. 주행 차선 왼쪽에는 차량 한 대가 있습니다. 만약 사람이 운전하고 있다면 급정차를 할지, 빠르게 지나칠지 수 밀리 세컨드(1,000분의 1초) 내에 결정할 수 있습니다. 반면 자율주행차는 차량에 설치된 레이더와 카메라, 초음파 그리고 위성통신 등으로부터 식별한 물체 종류와 차량 흐름, 차간 거리, 주변 도로 상황 등 데이터를 클라우드로 전송한 뒤 차량의 진행 방향을 전달받게 됩니다. 이때 걸리는 시간은 사람이 판단을 내리는 시간보다 꽤 늦을 것이며, 이 시간차는 보행자의 생명과 직결되는 매우 중요한 요인이 됩니다. 그런데 차량의 진행 방향 분석을 클라우드를 거치지 않고 즉각 수행한다면 위험 요소.. 더보기
문서 중앙화와 보안고려사항 최근, 중국 해커 중 일부가 한국에 대한 무차별적인 공격을 주장하거나 특정 업체가 랜섬웨어를 이용해 돈을 요구한다는 뉴스가 흘러나오고 있습니다. 일반 PC를 대상으로 불특정 다수를 공격하는 악성코드도 발견되어, 이젠 주변에서 해킹을 당했다는 사람도 나타나고 있습니다. 실제로, 저도 주변에서 랜섬웨어에 의해 데이터를 유실하였다는 소식도 들은 적이 있습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회사 보안 담당자는 정보 유출뿐만 아니라 정보 훼손에 대해서도 비중을 두고 고민하게 되었습니다. IT 처리 시스템은 메인 프레임을 중앙화한 환경 구축이 필요합니다. 유닉스(UNIX) 기반의 오픈 환경을 가상화하는 클라우드(Cloud) 환경을 확산하는 방향입니다. 그러나, 시스템에서 처리하는 정보 자산은 클라우드 환경의 개방성으로 인.. 더보기
클라우드 환경을 위한 스토리지 적용기술 지난 연재까지 클라우드의 트렌드와 아키텍처, VDI, 그리고 클라우드 환경의 운영관리 도구와 적용 사례에 대해 소개드렸는데요. 이번 시간에는 클라우드 환경의 중요한 구성 요소 중 하나인 ‘클라우드 스토리지’ 관련 내용에 대해 설명해 드리고자 합니다. IDC의 구분에 따르면 클라우드 환경에서의 스토리지 서비스는 크게 두 가지로 나눠 볼 수 있습니다. 하나는 ‘스토리지 인 더 퍼블릭 클라우드(Storage in the public cloud)’, 쉽게 말해 일반 개인 사용자에게 데이터 백업, 사진, 동영상등 파일 공유의 용도로 서비스 되는 형태의 스토리지이고, 다른 하나는 ‘스토리지 포 더 프라이빗 클라우드(Storage for the private cloud)’, 즉 기업 서비스를 위한 클라우드 환경 또는.. 더보기